우리는 어느날 갑자기 어딘가에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심각하다면 바로 병원으로 가는게 대부분의 반응이겠지만, 심하지 않을 경우에는 괜찮나보다 하고 넘어갈 것입니다.
하지만 통증의 부위가 우리가 생각지도 않은, 평범하지 않은 부위라면 얘기가 달라집니다. 가량 귀와 같은 부위입니다.
귀 감염의 고통은 우는 아이와 밤새도록 있으면 정말 보호자에게도 악몽이 될 수도 있습니다. 위에 설명했듯이 흔치않은 부위라고 설명을 하였지만 귀 통증은 드문 일이 아닙니다. 선진국의 대부분의 어린이들은 5세가 되면 적어도 한번의 귀 감염에 걸리게 됩니다.
대부분의 귀 감염은 고막 뒤쪽의 귀 부분인 중이에서 발생하는데요, 중이는 유스타키오 관에 의해 목구멍의 상부에 연결이 되며, 일반적으로 신선한 공기를 중이에 넣고 유체를 배출시킵니다.
감기나 다른 감염 후 질병을 일으킨 바이러스 또는 박테리아가 중이에 퍼질 수 있는데요, 이런 일이 발생하면 유스타키오 관이 부어 오르거나 점액으로 막힐 수 있습니다.
이것은 세균을 잡아 귀에 감염시킬 수 있으며, 갇힌 세균은 더 많은 팽창과 체액 축적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귀 감염의 통증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왜 그렇게 많은 어린 아이가 귀 감염을 일으킬까요? 어린 아이들에게는 유스타키오 관과 면역계가 여전히 발달하고 있는데요, 일부 어린이는 감염에 맞설 수 없을 정도로 면역 체계가 약할 수도 있습니다.
나이가 많은 어린이와 성인에게서는 유스타키오 관이 크고 중이에서 유치를 배출하기 위해 경사져 있습니다. 어린 아이들에게는 이 튜브가 더 좁고 더 넓기 때문에 막히게 되는 것입니다.
통증이 사라지지 않거나 아이가 귀에서 액체가 나올 경우 의사를 찾아야 합니다. 귀 감염은 또한 아이를 까다로워하게 하거나, 열을 일으키거나, 청각 장애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많은 귀 감염은 치료할 필요가 없는데요,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낫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입니다.
항생제를 과다하게 처방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박테리아는 이러한 약물의 효과에 저항할 수 있기 때문에 의사는 심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환자에게 약을 처방하지 않으려고 할 것입니다.
약이 필요할 때 의사가 전한 시간동안 약을 복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어린 아이들이 약을 복용하게 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NIH가 자금을 지원한 최근의 연구에서는 항생제를 표준 10일 치료제보다 적게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테스트하였는데, 불행히도 단축된 치료는 효가가 없었고 이점 또한 없었습니다.
NIH가 후원하는 연구잘들은 이제 귀 감염을 치료할 수 있는 더 나은 방법을 찾고 있으며, 한 그룹은 이식할 수 있는 젤을 시험하여 외이도로 약물을 바로 전달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귀 감염의 주요 원인은 박테리아가 있는데요, 이 박테리아들은 서로 뭉치게 되어 생물학적으로 얇고 칙칙한 코팅인 바이오 필름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항생제조차도 효과가 없으며 계속해서 귀 감염을 시킵니다.
1987년에 도입된 백신은 이미 인플루엔자균의 하나의 균주에 의해 귀 감염을 예방하는데요, 연구원들은 다른 균주에 대비하여 백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스빈다.
또한 바비오 필름을 성장시키는 데 필요한 특정 영양소를 조사하고 있으며, 이러한 영양소를 제한하는 것은 이러한 박테리아와 싸우는 새로운 방법이 될 것입니다.
우리의 자녀가 귀에 감염되었거나 청력에 문제가 있으면 의사는 건강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 작은 튜브로 자녀의 귀 안의 물질을 뽑으라고 제안할 것입니다.
귀 감염은 전염성은 없지만 하나를 얻는 기회를 줄이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있는데요, 미리 증상이 보일 때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증상이 악화되지 않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입니다.
이렇듯 어떤 증상이든 우리가 쉽게 넘어가서는 안되면 뭐든 증상에는 원인이 있기 때문에, 그 원인을 파악하여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서 빠르게 대처하는 것이 더 증상이 심각해지거나, 다른 합병증을 방지하는 방법입니다.
인터넷으로는 한계가 있으니 꼭 의사와의 상담을 하시고 검사를 받는 것이 걱정으로 마음 졸이는 것보다 훨씬 정신적으로 도움이 되는 방법일 것입니다.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경기 준비 대처방안은 ??? (0) | 2019.07.09 |
---|---|
위산역류 대처방법은 ??? (0) | 2019.07.07 |
실내공기 관리 중요하다 !!! (0) | 2019.07.06 |
외로움 극복하는 방법은 ??? (0) | 2019.07.05 |
게임 건강을 위해 한다 ??? (0) | 2019.07.05 |